장애인 소식

장애인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장애인 사망률 전체 대비 5.3배나 높은데...건강검진은 덜 받는다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장애인 사망률이 전체인구보다 5.3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0대 사망률은 17.3배나 차이가 났다. 장애인들이 우울, 불안장애, 치매를 앓고 있는 비율 역시 비장애인보다 각각 2.6배, 2.2배, 7.3배 높았다. 그런데도 건강검진을 받은 장애인의 비율은 비장애인보다 12.0% 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돼, 장애인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이 12일 국내 등록장애인 약 265만 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의료이용, 사망원인 등 86개 항목을 조사한 ‘장애인 건강보건통계’를 발표했다. 해당 결과는 2022년 조사를 기준으로 했고,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 당 비율로 계산했다. 장애인 사망률은 3885.4명으로 전체인구 사망률 727.6명 보다 높았다. 장애유형별로는 호흡기 장애(1만1612.2명), 신장(8824.9명), 뇌병변(8544.6명) 장애를 겪는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전체 장애인 사망 시 평균연령은 77.9세였는데 자폐성장애인은 22.5세로 사망 시 평균연령이 가장 낮았다.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보건통계’© 경향신문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보건통계’© 경향신문

장애인구와 전체인구 모두 사망원인 1순위는 암이었다. 암으로 인한 장애인 사망률은 611.1명으로 전체인구 대비 3.8배 높았다.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도 장애인이 각각 7.5배, 5.5배 더 높았다.

장애인은 정신과 질환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정신장애를 겪고 있는 장애인 중 30.6%가 우울, 33.1%가 불안 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장애인 사망의 외인적 요소 중 1위가 자살이었다. 2022년 기준, 자살에 의한 장애인 사망자는 총 1407명으로 1일 평균 자살 사망자 수가 3.9명이었다. 인구 10만 명 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로 계산해 보면 53.1명으로 이는 전체인구 대비 2.1배 높은 수치다.

장애인은 각종 질환에 노출돼 있지만 건강검진을 받는 비율이 비장애인에 비해 낮았다. 2022년 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63.5%였다. 중증장애인으로만 한정하면 52.0%에 그치는데 이는 75.5%를 기록한 비장애인에 비해 23.5% 포인트 낮은 수치다. 장애유형별로 보면, 정신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이 43.3%로 가장 낮았고, 뇌병변장애(43.8%)가 뒤를 이었다.

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판정 결과 ‘정상’이 나온 비율은 18.3%에 그쳤다. ‘질환 의심’은 31.3%, ‘유질환자’는 50.4%였다. 정상 판정 비율은 비장애인(41.6%)의 절반에 못 미쳤고, 유질환자 비율은 비장애인(25.4%)보다 약 두 배 높았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기관 입원 일수는 20.6일로 비장애인(2.1일) 대비 9.8배 많았고, 외래일 수는 35.0일로 비장애인(17.8일)의 2배 정도 높았다.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보건통계’© 경향신문

이에 따라 국민 전체 진료비에서 장애인이 사용하는 비용이 높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2022년 등록장애인은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약 5.2% 수준이었는데 국민 전체가 사용한 진료비(116조 1930억 원)의 15.9%인 약 18조4549억원을 썼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로 환산하면 약 718.9만원으로 비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190.3만원)에 비해 4배 가까이 많았다.

장애인 건강보건통계는 13일 국립재활원 나래관에서 개최하는 ‘2025년 장애인건강보건통계 콘퍼런스’에서 발표된다.

김찬호 기자 flycloser@kyunghyang.com

ⓒ경향신문(https://www.khan.co.kr)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30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2024년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사업 안내

관리자4932024년 5월 23일
30

장애인 관련 법안 4건, 국회 본회의 통과

관리자192025년 3월 13일
29

장애인 사망률 전체 대비 5.3배나 높은데...건강검진은 덜 받는다 image

관리자272025년 3월 13일
28

기아 초록여행, 장애인 가정 5월 여행 지원‥15일까지 접수

관리자312025년 3월 6일
27

65세 이상 발달장애인도 주간활동서비스 이용 가능

관리자372025년 2월 26일
26

경기도, 발달장애인 65세 연령 제한 폐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

관리자452025년 2월 17일
25

산업부, 장애인·수급자 등 고효율가전 구매 시 최대 30만원 환급

관리자742025년 2월 3일
24

올해부터 청소년 장애인도 ‘교통카드 기능 장애인등록증’ 발급 가능

관리자902025년 1월 14일
23

독립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 - 장애인들이 '탈시설'을 원할 수밖에 없는 이유

관리자992025년 1월 7일
22

올해부터 장애인연금 최대 43만 2510원 지급

관리자1002025년 1월 6일
21

복지로, ‘긴급돌봄 서비스’ 온라인 신청 오픈

관리자1262025년 1월 3일
20

새해 달라지는 복지제도,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반영 작업 실시

관리자1132024년 12월 27일
19

법원, “만 65세 장애인일자리 중단 부당” 복귀 임시조치 외면

관리자1132024년 12월 27일
18

휠체어 이용 가능 지하보도·공중화장실,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개선

관리자1192024년 12월 19일
17

대법원 “장애인 접근권 국가 책임” 인정, 6년 만에 이겼다

관리자1232024년 12월 19일
16

경기도, 내년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공모 사전설명회 연다 image

관리자1212024년 12월 12일
15

내년도 예산안 국회 증액 없이 통과, 장애계 투쟁 물거품

관리자1292024년 12월 11일
14

경기도 장애인 경제적 착취 심각‧‧중복학대 비율 급증

관리자1282024년 12월 10일
13

“국가 절세‧감면에 있어 기준 완화 장애인 재산형성 지원해야”

관리자1252024년 12월 10일
12

소방청 누리집 내 ‘장애인 페이지’ 개설 ‘시범 운영’

관리자1392024년 11월 26일
11

‘2024년 장애인 창업 인턴캠프’ 참가자 모집‥11월 25일까지 image

관리자1752024년 10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