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소식

장애인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장애를 알려야 권리가 생긴다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에이블뉴스 서인환 칼럼니스트】 우리 주변에는 CCTV가 참으로 많다. 대부분 CCTV가 설치된 곳에는 ‘CCTV 촬영 중’이라는 스티커가 붙어 있다. 몰래 촬영해야 확실한 증거를 채집할 수 있는데, 촬영한다거나 CCTV가 설치됨을 공개적으로 알린다. 범인을 잡는 것보다 예방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차량에 GPS 추적기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리는 스티커도 있다. 이 역시 차량 절도를 막기 위해 차량 추적기를 설치하였음을 알려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차량은 집 안에 들고 들어갈 수 없다. 그러므로 운행을 정지한 차량은 CCTV가 있는 주차장이나 차고에서는 보호를 받을 수 있을지 몰라도 어디든지 가야 하는 차량은 주차나 정차하는 곳이 너무 다양하니 추적기를 설치하는 것이다. 추적기는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만 있어 교통사고에서의 시비를 가리거나 주변의 필요한 증거를 채집하기 위해 블랙박스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블랙박스 불빛이 깜박이고 있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도 있지만, ‘블랙박스 작동 중’이라는 스티커를 추가로 붙이기도 한다.

주변에 자신이 장애인임을 알리고 싶지 않은 분들이 있다. 그런 분들도 장애인주차장을 피하지는 않는다. 장애인주차장에 차를 대면 주변 사람들이 장애인이 살고 있다는 존재가 금방 소문날 것이다. 하지만 부정적 시선에 맞서는 데에 걱정이 없기도 하고, 장애인의 주차 혜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당당히 장애인임이 알려지는 것에 잠정적 동의를 해야하는 것이다. 이왕 장애인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고 누가 알아볼까 봐 바로 내리지 않고 아무도 없는 순간을 기다려 내리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장애는 알려져야 한다.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청각장애인이 사는 집에 벨소리도 듣지 못하는데 등기우편물을 들고 온 집배원이 그냥 돌아가서 반송했다면 장애인이 거주하는 것을 알지 못한 집배원을 원망해봤자 책임을 물을 수도 없고, 서러워해도 소용이 없다. 문에 ‘이 집에는 청각장애인이 삽니다. 문을 두드리거나 벨을 눌러도 알지 못합니다’라는 문구를 스티커로 제작하여 붙여 둔다면 집배원은 이해는 되었지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몰라 당황하게 될 것이다.

벨을 누르면 깜빡이는 불이 켜진다거나, 다른 방식의 알림 기술을 이용한 홈스마트 보조기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라면 굳이 청각장애인이 집에 있다는 것을 알릴 필요도 없을 것이다. ‘청각장애인 집입니다. 벨 대신 문자를 보내주세요’라고 스티커를 붙이고 전화번호를 써 둔다면 집배원이 그냥 돌아가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개인정보가 공개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런 문제들을 고려, 스티커를 이용해 장애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은 필요하다. 우리 주변에는 알리지는 않고 몰라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화를 내거나 원망하는 경우가 많다.

외국의 경우를 보면 적극적으로 자신이 필요한 요구를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알리고 협조를 요청했음에도 고려해 주지 않으면 그 사람이 잘못한 것이다. 알리지 않았다면 그 사람의 잘못이 아니라 나의 잘못인 것이다. 우리의 문화에는 알아서 해 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은근히 바라는 기대가 있다.


장애인임을 알리는 외국의 사례. ©서인환
먼저 외국 차량의 스티커들을 보자. 차량용을 먼저, 그리고 주택용을 보여준다. 설명은 좌에서 우로 가면서 번호를 붙이고 있다.

1) 장애인차량으로 GPS 추적기 작동 중.

2) 차량 후면으로 휠체어 내리는 슬로프가 설치되어 있으니 공간을 확보해 주세요.

3) 휠체어 접근 공간 요청함.

4) 이 차량은 휠체어 탑승공간 필요함.

5) 장애인 운전자가 문을 활짝 열 수 있도록 가까이 붙여서 주차하지 말아 주세요.

6) 휠체어 접근이 필요합니다. 너무 가까이 붙여서 주차하지 말아 주세요.

7) 우리가 잡히면 너는 청각장애인이고, 나는 영어를 못해. : 이 스티커는 유머 스티커로 사용했지만 장애인 비하 논란에 휩싸여 지금은 사용하지 않음.

8) 청각장애인 차량 : 청각장애인 마크를 차량에서 보기는 쉽지 않다. 청각장애인 스티커는 경찰청에서 베포를 한다. 외국에서는 청각장애 마크 외에 ‘사랑합니다’ 수어 마크를 병행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구어를 사용하는지 수어를 사용하는지 알리기 위함이다.

9) 장애인 거주. 배달원님, 응답이 지연될 수 있으니 인내를 요청합니다. 영업 방문자나 광고방문자(Cold Callers)는 방문을 삼가해 주세요.

우리의 경우 장애인 차량에 장애인 마크(미국에서는 장애인 마크라고 하지 않고 블루 마크라고 부른다)는 반드시 부착한다. 그래야만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이나 장애인주차장 이용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휠체어가 후면에서 승하차를 하는지, 운전자가 휠체어를 가지고 내리는지의 정보는 다른 사람들은 알 수 없다.

장애인주차장의 너비가 일반적인 주차장보다 폭이 넓으니 별 문제가 없을 수는 있지만, 아파트의 경우 건축한 지가 오래되었다면 장애인 마크를 주차장에 그려 놓기는 해도 폭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리고 장애인 주차장 후면에 짐을 쌓아놓아 후면으로 휠체어를 내리지 못하는 경우나 운전자가 휠체어를 가지고 승하차할 공간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장애인주차장이 모두 꽉 차서 비장애인 공간에 하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주거지에 장애인 마크와 당부의 말을 스티커를 붙여서 협조를 구하는 것 역시 이웃과 소통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발달장애인이 아파트에서 소음을 일으켜 이웃으로부터 항의를 받고서 장애인이 있음을 이야기하는 것은 핑계처럼 들릴 수 있다. 미리 장애인이 거주함을 알리고 소음이 생길 수 있음에 이해를 구하고 감사하다고 표현하는 스티커를 붙인다면 이웃의 태도는 더욱 친화적이지 않을까 한다. 항의하러 왔다가 문의 스티커를 본다면 얼굴을 붉히거나 민망해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경우도 누군가 방문했을 때 기다리는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됨을 알리는 것 역시 어쩌면 장애인의 에티켓이 아닐까 싶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스티커를 장애인들에게 온라인 쇼핑물에서 팔고 있다.

우리도 장애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이웃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이해와 협조를 요구하는 것은 이웃과의 소통과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일일 것이다. 조금더 당당하게 조금 더 적극적으로 자신을 알리고 이해를 요청해 보자.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53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2024년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사업 안내

관리자6992024년 5월 23일
53

고령장애인의 급증과 한국 사회의 정책적 대응

관리자92025년 7월 3일
52

“장애인 이동권은 인권”… 박옥분 경기도의원, 특별교통수단 개선안 제시 image

관리자102025년 7월 2일
51

장애를 알려야 권리가 생긴다

관리자112025년 7월 2일
50

경기장차연, "경기도 장애인 거주시설 신규 설치 계획 철회해야"

관리자102025년 7월 2일
49

장애 관련 사회보장 지출 '국제 비교를 통한 한국 복지정책 과제'

관리자132025년 6월 27일
48

‘장애인 보조견 출입 거부’ 5년간 과태료 처분 18건 발생

관리자132025년 6월 27일
47

경기도장애인콜택시 ‘이용 제한, 패널티’에 불편·불안 ‘호소’

관리자142025년 6월 26일
46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법제화 코앞, 예산 없인 껍데기 불과”

관리자132025년 6월 26일
45

보건복지부-국립재활원, '2025년 장애인 건강보건 통합성과대회' 개최

관리자212025년 6월 20일
44

연세대 치과병원 1층에 ‘서울시 장애인구강진료센터’ 개소

관리자202025년 6월 19일
43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 ‘시범사업’ 공모한다

관리자262025년 6월 17일
42

‘1인 중증장애인기업 업무지원인 제도 고도화 정책토론회’ 성료

관리자272025년 6월 17일
41

내년 3월부터 중증장애인도 의료 등 통합돌봄 제공받는다

관리자332025년 6월 11일
40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1년, 돌봄부담 완화·정서 안정 “굿” image

관리자332025년 6월 11일
39

발달장애·경계선지능 청년 위한 ‘인턴십’ 운영 image

관리자362025년 6월 10일
38

발달장애인 지원인력 양성 ‘내부 교육 강화’로 역량 높여야

관리자302025년 6월 10일
37

‘2025 장애인 미디어 콘텐츠 공모전’ 작품 모집‥8월 6일까지 image

관리자312025년 6월 9일
36

2025년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사업 추가모집 안내 image

관리자372025년 6월 5일
35

장애인·장애인단체 자동차 무상 정비 ‘드림카 프로젝트 시즌13’ 3차 접수 image

관리자362025년 6월 5일
34

『2025년 하남시 장애인 동행안심보험(전동보장구 배상책임보험)』 시행 안내 image

관리자352025년 5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