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소식

장애인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정신장애 국가책임제 도입하라",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 등 국정기획위원회 앞서 3보 1배 투쟁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이흥재 기자 :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한정연, 상임대표 신석철)와 16개 연대단체가 정신장애 국가책임제 도입과 국정 과제 반영을 촉구하며 지난 7월 11일 서울 다모여빌딩에서부터 국정기획위원회 앞까지 3보 1배 투쟁과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은 "정신장애 국가책임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보호의무자 제도의 즉각 폐지와 전국 17개 시·도에 동료지원센터 설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기자회견 직후 정부 측 관계자와 면담이 이루어졌으나, 참가자들은 보건복지부 국장은 "요구안을 검토하겠다"는 원론적 답변만 내놔 "우리의 요구가 과연 제대로 전달됐는지, 국정 과제에 반영될지 불투명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는 보호의무자 제도가 당사자의 의사를 철저히 무시한 채 입원과 치료 과정에서 심각한 고통과 상처를 주고 가족 간 갈등과 불화를 조장해 왔다고 지적했다.

또한, 당사자가 위기를 겪거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국가가 책임지고 지원해야 함을 강조하며, "정신장애인은 이 나라의 국민으로서 법 앞에 평등할 권리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동료지원센터 설치는 당사자의 회복과 자립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기반이자, 지역사회 안에서 위기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필수 인프라로 꼽혔다.

참가 단체들은 "이번 행동이 정신장애 당사자가 국민으로서 존엄과 권리를 보장받고,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정책 변화를 촉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각계의 적극적인 관심과 언론의 보도를 요청했다.

한정연 신석철 상임대표는 "더 이상 정신장애 국가책임제 도입이 미뤄져선 안 된다"며 "우리의 절실함을 담아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정연과 연대단체들은 오는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국회 앞에서 3보 1배 투쟁을 이어가며 정부와 국회에 요구안을 강력히 전달할 계획이다.


“장애인” 그들의 작은 소리에도 귀 기울이겠습니다.

한국장애인신문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jebo@koreadisablednews.com

출처 : 한국장애인신문(http://www.koreadisablednews.com)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91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2024년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사업 안내

관리자11242024년 5월 23일
71

턱없이 부족한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관리자842025년 8월 1일
70

장애인고용공단-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 역량 기반 ‘장애인 고용’ 창출

관리자812025년 7월 30일
69

“장애인 건강권의 출발선, 통계는 준비되어 있는가”

관리자872025년 7월 29일
68

장애 특성이 공유되는 사회가 되기를

관리자832025년 7월 28일
67

장애·고령으로 퇴직 후 실업자로, 고령장애인 "일하고 싶다"

관리자962025년 7월 28일
66

장애인보조견 ‘리트리버’만? 모든 유형의 장애인보조견 차별 없길

관리자1082025년 7월 25일
65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계선지능 청년 자립·고용 지원 위해 민관 4개 기관 업무협약 체결

관리자1082025년 7월 23일
64

정은경 복지부 장관 취임, "장애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 약속

관리자1102025년 7월 22일
63

최혜영 전 의원, 국무총리실 공보실장 내정… 장애계 “중대한 이정표” 한 뜻

관리자1162025년 7월 18일
62

2025년, 여성 장애인의 삶을 묻다

관리자1082025년 7월 17일
61

"정신장애 국가책임제 도입하라",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 등 국정기획위원회 앞서 3보 1배 투쟁

관리자1142025년 7월 15일
60

장애인공단, 경계선 청년 위한 ‘경·사·로 프로그램’ 진행

관리자1232025년 7월 15일
59

부산시, 휠체어 이용 장애인 저상버스 탑승 여건 개선 추진

관리자1232025년 7월 11일
58

사전통보·당사자 목소리 배제 ‘경기도 장애인복지시설 인권 모니터링’ 비판

관리자1242025년 7월 11일
57

장애인공단·사회보장정보원, ‘복지멤버십 통한 장애인 고용 환경 조성’ 맞손

관리자1232025년 7월 10일
56

65세 이상 장애인 145만명, “빈곤 완화 정책 가장 시급” image

관리자1322025년 7월 9일
55

이재명정부 첫 추경서 발달장애인 예산 확보, 부모연대 '환호'

관리자1342025년 7월 8일
54

경기도, ‘장애인 대소변흡수용품 구입지원’ 모든 장애인으로 확대

관리자1292025년 7월 7일
53

고령장애인의 급증과 한국 사회의 정책적 대응

관리자1312025년 7월 3일
52

“장애인 이동권은 인권”… 박옥분 경기도의원, 특별교통수단 개선안 제시 image

관리자1352025년 7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