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자유로운 만큼 더욱 더 예절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장애학생의 문해력 현황과 개선 방안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문해력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넘어, 세상과 소통하고 학습하며 자율적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 역량이다. 특히 장애학생에게 문해력은 자립과 사회참여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그러나 우리 교육 현실 속에서 장애학생의 문해력 문제는 여전히 체계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법과 제도는 통합교육과 포용교육을 외치지만, 실제 교실과 교육 과정 속에서 장애학생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장애학생의 문해력은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지적장애나 자폐성 장애를 가진 학생은 문자 해독 능력뿐만 아니라 언어의 의미 파악, 맥락 이해,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청각장애 학생은 구어 기반의 문자교육에서 소외되기 쉽고, 시각장애 학생은 점자나 음성 기반 문해 기술이 별도로 필요하다. 이처럼 문해력의 발달은 단일한 경로가 아니라, 장애 특성과 개인의 학습 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개별화된 접근이 반드시 요구된다.

하지만 현실은 이것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 교육계획(IEP)에서 문해력 향상 목표는 형식적으로 설정되거나,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또한 교과서와 수업 자료는 여전히 비장애학생 중심으로 제작되어 있어, 장애학생이 자율적으로 읽고 이해하기 어려운 구조다. 일부 교사는 장애학생의 문해 수준을 ‘어쩔 수 없는 한계’로 간주하고, 충분한 지도를 포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장애학생의 학습권과 정보접근권 침해로 이어진다. 문해력이 낮으면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고, 평가에서 지속적으로 낮은 성적을 받으며, 이것은 곧 자존감 저하와 학습 동기 상실로 연결된다. 나아가 성인이 된 이후에도 복지서비스 이용 신청, 취업 준비, 대중교통 이용 등 일상생활 전반에서 정보 이해와 활용에 큰 제약을 받는다. 결국 문해력 부족은 장애학생의 삶 전반을 제한하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 되는 셈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해력 중심의 기초학력 지원 정책이 장애학생에게 실질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현재 교육부의 기초학력 보장 정책은 대부분 일반학생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장애학생은 특수교육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별도 접근되고 있다. 그러나 문해력은 모든 학생의 기본권이자 공통 교육 목표이므로, 장애학생을 일반 정책 안에서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유형별 맞춤형 문해교육 콘텐츠와 교수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점자 기반 읽기 자료,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수어 연계 텍스트,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시각화된 의사소통 도구와 그림책 등 다양한 형태의 문해자료가 필요하다. 또한 특수교사뿐 아니라 일반교사도 문해교육에 대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학교 도서관과 지역사회 기관이 장애학생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환경을 함께 조성해야 한다. 음성도서, 큰글자 책, 이지 리딩북 등 접근 가능한 자료를 확충하고, 독서지도사, 언어치료사, 보조인력 등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적 문해지원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역사회 평생학습 체계와 연계된 장기적 지원이 중요하다.

문해력은 단지 교육 초기의 기초학습 문제로만 그치지 않는다. 이것은 평생을 좌우하는 능력이자,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필수적 권리이다. 장애학생이 교실에서 자신 있게 읽고, 쓸 수 있는 환경은 그 자체로 학교의 포용성을 말해주는 지표다. 이제는 장애학생의 문해력 문제를 더 이상 특수교육 내부의 과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국가 차원의 교육 정의와 평등을 위한 핵심 의제로 다뤄야 할 때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133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2023. 02. 20 노래자랑 대회

관리자30832023년 2월 22일
207

장애 청년들이 정책에 배제되지 않도록

관리자3어제 오후 06:05
206

청각장애인이 운동할 때, 강사와 원활하게 소통하는 방법

관리자22025년 9월 17일
205

'권리는 법전에만?' 경찰·검찰 발달장애인 권리옹호 교육 의무화 시급

관리자112025년 9월 11일
204

중도장애인의 사회복귀는 지역에서 완성된다

관리자172025년 9월 8일
203

장애인·장애인단체 자동차 무상 정비 ‘드림카 프로젝트 시즌13’ 접수

관리자252025년 9월 3일
202

한자연, ‘자립생활 법제화 2·5·5 정책 추진’ 촉구

관리자392025년 8월 27일
201

디지털 시대, 고령장애인 이중 격차 해소책이 필요하다

관리자392025년 8월 25일
200

"운동 중 피로가 심한 만성질환 장애인도 운동할 수 있을까요?"

관리자442025년 8월 22일
199

‘발달재활사 국가자격 도입’ 시급 vs 복지부, ‘시기 상조

관리자402025년 8월 21일
198

장애인 이동약자지원 차량 탑승 대기 장소의 필요성

관리자542025년 8월 19일
197

“청각장애도 음악 막을 수 없어”…농밴져스의 무대 도전

관리자522025년 8월 18일
196

장애학생의 문해력 현황과 개선 방안

관리자552025년 8월 14일
195

이재명 정부 123대 국정과제 윤곽, 장애계 “기대 반 우려 반”

관리자572025년 8월 14일
194

장애인고용기금, 안 쓰는 돈이 아니라 더 잘 써야 할 돈

관리자562025년 8월 14일
193

장애인체육회, ‘2025년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역량강화 교육’ 개시

관리자592025년 8월 13일
192

왜 우리는 작고 가벼운 전동휠체어를 만나기 어려운가

관리자562025년 8월 12일
191

정신장애 국가책임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관리자682025년 8월 8일
190

장애계 행동, 이젠 조금 더 차분해지고 '역설적인' 흩어짐을 선택하자

관리자752025년 8월 6일
189

불법돌봄 조장하는 보건복지부

관리자842025년 8월 1일
188

백선희 의원, 사회복지사 처우 개선 ‘퇴직연금 지급' 입법화

관리자902025년 7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