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자유로운 만큼 더욱 더 예절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시각장애인이 공간을 인식하며 운동하는 법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에이블뉴스 이디다 칼럼니스트】 "시각장애가 있는데, 필라테스를 할 수 있을까요?"

 제가 센터에서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물론 가능합니다. 다만 눈이 아닌 다른 감각을 더 적극적으로 열어야 하고, 강사와의 소통 방식이 조금 달라질 뿐입니다. 오히려 필라테스는 시각보다 촉각과 청각, 그리고 내 몸의 작은 신호에 집중하는 운동이라서 시각장애인에게도 잘 맞습니다.

1. 공간 구조 먼저 익히기

 첫걸음은 ‘공간을 익히는 것’입니다. 기구가 어디에 있고, 매트가 어느 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벽과 천장이 얼마나 가까운지 감각으로 익혀야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지요.

 어느 날 한 회원님은 처음 리포머 앞에 앉으셨을 때, 손끝으로 기구의 테두리를 따라 천천히 훑으며 “아, 이렇게 길게 뻗어 있군요” 하고 웃으셨습니다. 그 순간 긴장이 풀리더니, 이후에는 혼자서도 자리와 기구를 척척 찾아가셨습니다. 작은 익숙함이 큰 자신감이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2. 촉각·청각 중심의 안내

 시각장애인에게 수업은 눈으로 보는 대신, 손끝과 귀로 배우는 시간입니다. 강사가 어깨를 살짝 잡아주거나 골반을 부드럽게 터치하면 몸이 금세 올바른 정렬을 기억합니다. 설명할 때도 “팔 들어요”보다는 “어깨에서 손끝까지 길게 뻗는 느낌”이라고 말하면 훨씬 와 닿습니다.

 한 회원님은 어깨를 살짝 잡아드렸을 때, “아, 이 느낌이군요!” 하고 환하게 웃으셨습니다. 그 표정이 저에게도 큰 힘이 되었지요. 서로의 감각이 닿는 순간, 수업 공간이 따뜻해집니다.

3. 동작의 ‘모양’보다 ‘감각’에 집중하기

 거울에 비친 모양보다 내 몸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귀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부가 단단해지는 느낌, 골반이 바닥과 수평을 이루는 느낌, 호흡이 옆구리로 퍼져나가는 느낌. 이런 감각은 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몸은 정확히 기억합니다.

 어떤 회원님은 “거울을 못 봐 불편할 줄 알았는데, 오히려 내 몸에 집중할 수 있어 좋아요”라고 하셨습니다. 시각이 아닌 감각으로 배운다는 건, 자기 몸을 더 깊이 알아가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4. 강사와의 사전 소통

 무엇보다 중요한 건 솔직한 소통입니다. “앞은 보이지만 옆은 잘 안 보여요”, “기구 이동할 때 팔을 잡아주시면 좋아요” 같은 요청이 있으면 수업은 훨씬 부드럽게 흘러갑니다.

 한 회원님은 수업 전 “기구 옮길 때만 잡아주세요”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그 약속 하나 덕분에 불필요한 긴장이 사라졌습니다. 서로가 예측 가능한 관계가 되었을 때, 신뢰가 쌓이고 운동이 즐거워집니다.

5. 혼자 연습할 때의 작은 팁

 집에서 연습할 때는 벽이나 매트를 기준 삼으면 좋습니다. 벽을 등지고 앉아 척추 세우기, 매트 중앙에서 호흡하기, 다리 들어올리기 같은 간단한 동작도 충분합니다.

 한 회원님은 집에서 벽을 기준으로 호흡 연습을 꾸준히 하셨는데, 다시 센터에 오셨을 때는 자세가 훨씬 안정되어 계셨습니다. “집에서도 혼자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얼굴에 그대로 묻어나더군요.

마치며

 시각장애인도 충분히 필라테스를 배울 수 있습니다. 다만 눈으로 따라 하기보다는 몸으로 이해하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그 과정 속에서 공간은 더 친근해지고, 감각은 더 섬세해지며, 몸과 마음은 새로운 균형을 찾아갑니다.

 지금 이 글을 읽는 자리에서 잠시 눈을 감고, 발바닥에 닿는 바닥의 감촉을 느껴보세요. 그 순간 이미, 필라테스는 시작된 것입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157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2023. 02. 20 노래자랑 대회

관리자36152023년 2월 22일
231

동네에서 계속 살 권리, 발달장애인의 노후는 주민의 역량이 결정한다

관리자182025년 10월 31일
230

말만 믿고 ‘부동산’ 구입, 파산 위기에 몰린 시각장애인

관리자212025년 10월 30일
229

장애인 근로지원인에게 사적업무 강요 ‘공짜인력’ 악용 천태만상

관리자192025년 10월 29일
228

복지부, 11월부터 2개월간 ‘사회보장급여 정기 확인조사’ 실시

관리자172025년 10월 29일
227

장애인 활동지원 억울한 부정수급 판정, 사회보장정보원 "나몰라라"

관리자192025년 10월 28일
226

노년 장애인 시대,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은 괜찮은가

관리자182025년 10월 27일
225

"장애 관련 법안 발의 많은데‥통과율·집행 정체, 복지위 편중"

관리자192025년 10월 27일
224

IL센터 '시설화' 논란 속에 자립생활의 길을 묻다

관리자282025년 10월 23일
223

복지부·개발원, 2026년도 장애인식개선 교육기관 모집

관리자262025년 10월 22일
222

금융·보험업 ‘장애인 의무고용 이행률’ 사실상 꼴찌

관리자292025년 10월 22일
221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를 분석하다

관리자272025년 10월 20일
220

경기도 장애인콜택시, 도내 공동주택 자동 출입 가능

관리자292025년 10월 17일
219

‘업무지원 범위 모호·동시 지원 확대’ 근로지원인 제도 경고음

관리자312025년 10월 16일
218

이제는 배리어프리 스포츠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야

관리자382025년 10월 13일
217

치매와 치매진단 프로세스

관리자372025년 10월 13일
216

한자연, ‘장애인활동지원 지방세특례 영구법으로 개정하라’ 촉구

관리자522025년 10월 1일
215

시각장애인이 공간을 인식하며 운동하는 법

관리자522025년 9월 30일
214

장애인거주시설 학대·착취 인권침해 줄줄이 적발, 시설 폐쇄는 1곳뿐

관리자512025년 9월 29일
213

셀프서비스 바람 속 쉽지 않은 장애인의 한 끼

관리자1352025년 9월 26일
212

구급차 이송 절단환자 중 0.04%만 진통제 투여, “응급이송 통증관리 체계 마련해야”

관리자672025년 9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