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소식

장애인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장애·고령으로 퇴직 후 실업자로, 고령장애인 "일하고 싶다"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고령장애인들이 장애와 고령으로 인해 퇴직해 실직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취업지원, 고용유지 지원 등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은 최근 '미취업 고령장애인의 구직활동 및 직업욕구 분석'이라는 주제의 장애인고용정책 이슈 브리프를 발간했다.


(위)취업희망 장애인 연령별 분포(아래)취업희망 장애인의 퇴직 사유.ⓒ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속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를 합한 50세 이상의 미취업 고령 장애인구는 100만2591명으로, 이중 취업을 희망하는 고령장애인은 6만6943명으로 전체 6.7%를 차지한다.

취업희망 장애인 중 '퇴직 사유'에 대해 50대의 경우 '장애(악화, 차별 등)'를 41%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사업자 사유(경영 악화, 계약 만료)가 45.2%를 차지했다. 60대 이상은 사업자 사유 29.2%, 장애 23.7%, 정년퇴직이나 연로 13.7% 등이다. 이에 고령장애인의 퇴직 사유는 정년 은퇴보다는 장애나 사업주 사유에 따른 비중이 높았다는 분석.

고령장애인 중 일할 욕구가 있는 취업희망자 중 근로 가능한 50세 이상 고령장애인은 6만2687명으로, 취업 희망 고령장애인의 93.6%를 차지했다. 이중 일반근로가 가능한 사람은 33.4%, 단순근로 가능자 32.2%다. 구직활동 적극성은 적극적인 경우 37%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당장 취업이 가능한 실업자에 대해선 취업알선이 시급하며, 일할 의욕을 갖고 있지만 구직활동이 소극적이거나 매우 소극적인 구직단념자, 잠재구직자, 잠재취업가능자의 구직활동과 취업을 촉진시키기 위한 고용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취업희망 고령장애인 중 50대는 민간취업알선기관과 부모, 친척, 지인에 대한 이용도가 높았다. 보고서는 "공공기관을 통해서보다 직접 일자리를 찾는 방식을 선택하는 비중이 높아 일자리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장애인전문서비스 기관 이용도를 낮추는 요인의 분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취업희망자는 대부분 임금 근로를 희망했다. 자영업에 종사했던 장애인조차 임금근로를 전환하기를 희망했고, 직업경험자의 퇴직 후 다른직종으로의 전환희망률이 높게 나타나 전직을 위한 재훈련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했다. 또 전일제보다 시간제를 선호했다. 희망임금도 50대 164.8만원, 60대 이상 165.9만원으로 낮았다.


취업희망 고령장애인의 고용지원 욕구.ⓒ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취업을 희망하는 고령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고용서비스는 87.1%가 취업지원, 고용유지지원, 장애인전용일자리 등을 꼽았다. 특히 고용유지에 대한 욕구가 비교적 높았다. 취업지원 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취업알선'을 요구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구직상담을 원하는 비중이 높았다.

보고서는 "초고령사회에 고령장애인 계속 근로에 종사할 수 있고 양질의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고용환경 및 고용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것은 향후 장애인 고용정책의 우선과제가 돼야 한다"면서 "고령장애인을 위한 전문화된 취업지원서비스체계의 구축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구체적으로 고령장애인을 위해선 입직기 청년장애인과 차별화된 재취업 및 전직을 위한 취업지원 서비스 체계적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대부분 고령장애인은 직장경험이 있으므로 취업을 희망하는 근로능력 있는 실업자는 바로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단순근로가 가능한 실업자는 구직상담을 통해 장애특성에 맞는 일자리 일선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고령장애인 실업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고령장애인 재직자의 계속 근로를 위한 고용유지 서비스 개발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고령장애인이나 사업주 대상의 상담과 컨설팅 제도를 꼽았다.

마지막으로 고령장애 친화적인 고용모델 개발과 정착 필요를 제언했다. 보고서는 "50세 이상 취업자는 대체적으로 일반사업체나 공공기관 근무 비중이 높으나 미취업자는 직업 경험과 관계없는 직종으로 재취업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면서 "안정된 고용의 질이 담보된 일자리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91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2024년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사업 안내

관리자11352024년 5월 23일
71

턱없이 부족한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관리자862025년 8월 1일
70

장애인고용공단-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 역량 기반 ‘장애인 고용’ 창출

관리자832025년 7월 30일
69

“장애인 건강권의 출발선, 통계는 준비되어 있는가”

관리자882025년 7월 29일
68

장애 특성이 공유되는 사회가 되기를

관리자842025년 7월 28일
67

장애·고령으로 퇴직 후 실업자로, 고령장애인 "일하고 싶다"

관리자982025년 7월 28일
66

장애인보조견 ‘리트리버’만? 모든 유형의 장애인보조견 차별 없길

관리자1102025년 7월 25일
65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계선지능 청년 자립·고용 지원 위해 민관 4개 기관 업무협약 체결

관리자1102025년 7월 23일
64

정은경 복지부 장관 취임, "장애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 약속

관리자1122025년 7월 22일
63

최혜영 전 의원, 국무총리실 공보실장 내정… 장애계 “중대한 이정표” 한 뜻

관리자1182025년 7월 18일
62

2025년, 여성 장애인의 삶을 묻다

관리자1102025년 7월 17일
61

"정신장애 국가책임제 도입하라",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 등 국정기획위원회 앞서 3보 1배 투쟁

관리자1152025년 7월 15일
60

장애인공단, 경계선 청년 위한 ‘경·사·로 프로그램’ 진행

관리자1252025년 7월 15일
59

부산시, 휠체어 이용 장애인 저상버스 탑승 여건 개선 추진

관리자1252025년 7월 11일
58

사전통보·당사자 목소리 배제 ‘경기도 장애인복지시설 인권 모니터링’ 비판

관리자1262025년 7월 11일
57

장애인공단·사회보장정보원, ‘복지멤버십 통한 장애인 고용 환경 조성’ 맞손

관리자1252025년 7월 10일
56

65세 이상 장애인 145만명, “빈곤 완화 정책 가장 시급” image

관리자1342025년 7월 9일
55

이재명정부 첫 추경서 발달장애인 예산 확보, 부모연대 '환호'

관리자1362025년 7월 8일
54

경기도, ‘장애인 대소변흡수용품 구입지원’ 모든 장애인으로 확대

관리자1312025년 7월 7일
53

고령장애인의 급증과 한국 사회의 정책적 대응

관리자1332025년 7월 3일
52

“장애인 이동권은 인권”… 박옥분 경기도의원, 특별교통수단 개선안 제시 image

관리자1372025년 7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