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소식

장애인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65세 이상 장애인 145만명, “빈곤 완화 정책 가장 시급”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65세 이상 장애인의 생활 여건이 비장애인보다 전반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과 돌봄, 사회관계 영역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세계 인구의 날(7월 11일)을 맞아 ‘통계로 보는 65세 이상 장애인’ 뉴스레터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뉴스레터는 보건복지부의 ‘2023년 노인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65세 이상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복지 욕구, 사회관계, 경제활동, 돌봄 등의 관점에서 비장애인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65세 이상 장애인이 향후 우선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노인복지정책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은 ‘빈곤 완화 지원(49.9%)’이었다. 이어 ‘보건의료 서비스(19.4%)’, ‘돌봄(요양) 서비스(15.4%)’ 순으로 나타났다.

2024년 기준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은 145만 5782명으로, 전체 65세 이상 인구의 14.6%를 차지한다. 장애 유형은 지체장애(46.6%)가 가장 많고, 청각장애(25.3%), 시각장애(9.7%), 뇌병변장애(9.5%), 신장장애(3.5%) 순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장애인 경제활동 통계.ⓒ한국장애인개발원
65세 이상 장애인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약 211만 원으로, 같은 연령대 비장애인(약 292만 원)의 72% 수준에 불과했다.

혼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장애인은 39.4%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5세 이상 장애인의 사회적 고립도 비율은 26.3%로 비장애인(15.5%)보다 약 1.7배 높았다.

일상생활 지원 측면에서도 높은 의존도를 보였다.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2.4%, ‘교통수단 이용에 도움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37.3%였다. ‘일상생활에 타인의 도움을 받는 비율’은 77.3%에 달했으며, 이 중 ‘동거 가족의 도움’(39%)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장애인 돌봄 통계.ⓒ한국장애인개발원
65세 이상 장애인이 1년 동안 여가 활동에 참여(TV·유튜브 시청 및 라디오 청취를 제외)한 비율은 72.8%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비율은 47.3%로, 비장애인(69%)보다 약 21.7%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원 이경혜 원장은 “65세 이상 장애인은 고령과 장애라는 이중의 특성을 함께 지니고 있어 세심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 장애인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책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개발원은 국내·외 통계자료를 장애 관점에서 재분석하여 정책 이슈 및 현황을 보여주는 KODDI 통계 뉴스레터를 정기 발행하고 있다. 뉴스레터 전문은 장애통계데이터포털(https://koddi.or.kr/stat)을 통해 볼 수 있으며, 구독 신청 시 이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91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2024년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사업 안내

관리자11362024년 5월 23일
71

턱없이 부족한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관리자862025년 8월 1일
70

장애인고용공단-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 역량 기반 ‘장애인 고용’ 창출

관리자842025년 7월 30일
69

“장애인 건강권의 출발선, 통계는 준비되어 있는가”

관리자892025년 7월 29일
68

장애 특성이 공유되는 사회가 되기를

관리자852025년 7월 28일
67

장애·고령으로 퇴직 후 실업자로, 고령장애인 "일하고 싶다"

관리자982025년 7월 28일
66

장애인보조견 ‘리트리버’만? 모든 유형의 장애인보조견 차별 없길

관리자1112025년 7월 25일
65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계선지능 청년 자립·고용 지원 위해 민관 4개 기관 업무협약 체결

관리자1102025년 7월 23일
64

정은경 복지부 장관 취임, "장애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 약속

관리자1132025년 7월 22일
63

최혜영 전 의원, 국무총리실 공보실장 내정… 장애계 “중대한 이정표” 한 뜻

관리자1182025년 7월 18일
62

2025년, 여성 장애인의 삶을 묻다

관리자1102025년 7월 17일
61

"정신장애 국가책임제 도입하라",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 등 국정기획위원회 앞서 3보 1배 투쟁

관리자1162025년 7월 15일
60

장애인공단, 경계선 청년 위한 ‘경·사·로 프로그램’ 진행

관리자1262025년 7월 15일
59

부산시, 휠체어 이용 장애인 저상버스 탑승 여건 개선 추진

관리자1252025년 7월 11일
58

사전통보·당사자 목소리 배제 ‘경기도 장애인복지시설 인권 모니터링’ 비판

관리자1272025년 7월 11일
57

장애인공단·사회보장정보원, ‘복지멤버십 통한 장애인 고용 환경 조성’ 맞손

관리자1262025년 7월 10일
56

65세 이상 장애인 145만명, “빈곤 완화 정책 가장 시급” image

관리자1352025년 7월 9일
55

이재명정부 첫 추경서 발달장애인 예산 확보, 부모연대 '환호'

관리자1372025년 7월 8일
54

경기도, ‘장애인 대소변흡수용품 구입지원’ 모든 장애인으로 확대

관리자1312025년 7월 7일
53

고령장애인의 급증과 한국 사회의 정책적 대응

관리자1342025년 7월 3일
52

“장애인 이동권은 인권”… 박옥분 경기도의원, 특별교통수단 개선안 제시 image

관리자1382025년 7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