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소식

장애인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사전통보·당사자 목소리 배제 ‘경기도 장애인복지시설 인권 모니터링’ 비판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에이블뉴스 백민 기자】 장애인 인권 보호를 내세운 경기도의 장애인복지시설 인권 모니터링이 오히려 시설 중심주의를 강화하고 당사자의 목소리를 철저히 배제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경기장차연)는 11일 오전 10시 경기도청 앞에서 ‘객관성·독립성이 무너진 경기남부장애인권익옹호기관 2025년 경기도 장애인 복지시설 인권상황 모니터링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지난 7월 7일부터 9일까지 진행된 ‘경기도 장애인복지시설 인권 모니터링 전문 면담원 양성과정’은 당초 인권 보호를 목표로 한다고 홍보됐다.

하지만 경기장차연은 이 모니터링 사업의 실제 구조와 운영 방식은 ‘인권’이라는 이름을 빌려 시설 중심주의를 정당화하고 당사자의 목소리를 차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설 종사자가 면담원으로 참여해 독립성을 명백히 훼손하고 있으며, 인권지킴이단·자치위원회 구성원·입주자 대표 등 시설 관리에 협조적인 인원만 면담 대상으로 지정해 인터뷰를 실시하고 있다는 것.

특히 시설 종사자가 면담원으로 참여하는 것은 조사자와 피조사자의 권력분리 원칙을 위반하는 것이며, 시설 관리에 협조적인 인원만 인터뷰하는 방식은 인권침해 피해 당사자의 목소리를 배제하는 구조적 필터링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11일 오전 10시 경기도청 앞에서 개최된 ‘객관성·독립성이 무너진 경기남부장애인권익옹호기관 2025년 경기도 장애인 복지시설 인권상황 모니터링 규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경기장애인부모연대 허혜영 부천지회장.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
아울러 인권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시설에 모니터링 일정과 지표를 사전 통보·공유하는 방식은 모니터링 일정과 조사 도구가 사전 공유돼 시설이 충분히 준비할 수 있는 구조라는 것.

모니터링 일정과 지표를 사전 통보하고 공유하는 현재의 모니터링은 일상적인 권리침해와 학대를 포착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관리된 환경만 보게 만드는 행정 쇼에 불과하다고 경기장차연은 규탄했다.

경기장애인부모연대 허혜영 부천지회장은 “장애인 복지시설 운영 정당화를 인정받으려면 장애인 복지시설 인권 모니터링 제대로 하기를 바란다. 조사자부터 믿을만한 사람으로 구성해 누가 보더라도 의심 하나 없는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한다. 그래야 시설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실태와 이용자들의 진심 어린 내용을 거짓 없이 담아올 수 있다고 믿지 않겠는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말하고 싶은 모든 이용인의 의견을 말하게 하면 된다. 떳떳하게 모니터링을 받으면 정당한 결과가 나올 것이고 시설을 운영하는 분들은 운영을 하고 싶으면 그 결과에 맞춰 정당하고 떳떳하게 운영하라”고 덧붙였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이형숙 회장은 “경기도에는 많은 장애인 시설이 있어 장애인권익옹호기관도 유일하게 두 개가 설치돼 있다. 특히나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80% 이상의 신고가 거주시설 학대 건수다. 그런데 이러한 기관의 모니터링이 시설 친화적이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원래 시설과 관련된 종사자는 장애인 시설 인권 모니터링단에 참여하면 안되는 것인데 왜 이렇게 됐는가. 이는 도둑에게 열쇠를 준 격이다.이 사태 반드시 바로 잡아야한다. 경기도에 분명하게 약속을 받아내야 한다. 반드시 바로잡을 수 있다고 끝까지 투쟁하자”고 외쳤다.

이에 경기장차연은 ▲인권 모니터링에 대한 구조적 재설계 ▲불시 방문 모니터링 등 실질적 점검체계 도입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탈시설 관점의 인권정책과 연결 등을 촉구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91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공지

2024년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사업 안내

관리자11362024년 5월 23일
71

턱없이 부족한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관리자862025년 8월 1일
70

장애인고용공단-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 역량 기반 ‘장애인 고용’ 창출

관리자842025년 7월 30일
69

“장애인 건강권의 출발선, 통계는 준비되어 있는가”

관리자892025년 7월 29일
68

장애 특성이 공유되는 사회가 되기를

관리자852025년 7월 28일
67

장애·고령으로 퇴직 후 실업자로, 고령장애인 "일하고 싶다"

관리자982025년 7월 28일
66

장애인보조견 ‘리트리버’만? 모든 유형의 장애인보조견 차별 없길

관리자1112025년 7월 25일
65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계선지능 청년 자립·고용 지원 위해 민관 4개 기관 업무협약 체결

관리자1102025년 7월 23일
64

정은경 복지부 장관 취임, "장애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 약속

관리자1122025년 7월 22일
63

최혜영 전 의원, 국무총리실 공보실장 내정… 장애계 “중대한 이정표” 한 뜻

관리자1182025년 7월 18일
62

2025년, 여성 장애인의 삶을 묻다

관리자1102025년 7월 17일
61

"정신장애 국가책임제 도입하라",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 등 국정기획위원회 앞서 3보 1배 투쟁

관리자1162025년 7월 15일
60

장애인공단, 경계선 청년 위한 ‘경·사·로 프로그램’ 진행

관리자1262025년 7월 15일
59

부산시, 휠체어 이용 장애인 저상버스 탑승 여건 개선 추진

관리자1252025년 7월 11일
58

사전통보·당사자 목소리 배제 ‘경기도 장애인복지시설 인권 모니터링’ 비판

관리자1272025년 7월 11일
57

장애인공단·사회보장정보원, ‘복지멤버십 통한 장애인 고용 환경 조성’ 맞손

관리자1262025년 7월 10일
56

65세 이상 장애인 145만명, “빈곤 완화 정책 가장 시급” image

관리자1342025년 7월 9일
55

이재명정부 첫 추경서 발달장애인 예산 확보, 부모연대 '환호'

관리자1372025년 7월 8일
54

경기도, ‘장애인 대소변흡수용품 구입지원’ 모든 장애인으로 확대

관리자1312025년 7월 7일
53

고령장애인의 급증과 한국 사회의 정책적 대응

관리자1332025년 7월 3일
52

“장애인 이동권은 인권”… 박옥분 경기도의원, 특별교통수단 개선안 제시 image

관리자1382025년 7월 2일